2024. 4. 5. 21:44ㆍTIL
오늘은 최종발표회를 진행했다..
6주간 진행한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내보였다.
여러 고난도 많았지만 나름대로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내서 다행인것 같다.
우리 프로젝트의 주요기능들을 짤막하게 적어보자면
1. OAuth2.0을 활용한 소셜로그인(구글, 카카오를 통한 로그인)
2. QueryDSL을 활용한 동적쿼리(다양한 조건의 검색)
3. Redisson Lock 을 사용한 동시성제어(Pub-Sub Lock)
4. Redis를 이용한 Cache(인기검색어, 평점, 좋아요 등의 TOP5를 메인화면에 위치)
이렇게 된다..
사실 적을만한게 없어가지고 주요기능이라도 적어놨다.
아래로는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우리조가 느낀점등을 KPT로 적어보았다.
KEEP
김건우: 팀원과 필요한 기능에 대해 논의하며 의사결정했던 과정이 중요했다고 생각한다.
장준혁: 프로젝트 진행 전 충분히 논의를 거쳐 ERD 와 REST API , 구조 등을 미리 고민한 점
이시원: 성능에대한 고민을 많이 해봤다, 레디슨 락을 사용한 이유에대해 생각해봤다.
장준용: 내가 담당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개념적인 학습하기
PROBLEM
김건우: 우선순위와 시간 문제로 부하테스트나 테스트코드, CI 등을 하지 못한 게 너무 아쉬웠다.
장준혁: 개인적으로 중간에 조금 처진 느낌이 있었는데 마음을 다잡고 더 빡세게 임했으면 다른 기능들도 더 추가해볼 수있었을 텐데 아쉬움. 캐싱을 사용하긴 했지만 구체적인 전략과 배치 전략? 등을 더 고민해보고 대책을 세워봤으면 좋았을 것 같다.
이시원: 동시성제어에 대한 부분은 아직 락으로만 처리를 진행하고있다, 현재 이벤트마다 좌석은 R,S,A 로 고정되어있는데 이를 좀더 동적으로 처리할수 있으면 좋겠다.
장준용: 프론트엔드 코스는 아니지만, 프론트엔드 부분도 프로젝트간 작성해 보았다면 프론트엔드와 협업하는 경우 소통에 도움이 되었을 것 같다. QueryDSL 이후로 처진 느낌이 있었다.
TRY
김건우: 프로젝트가 길어질수록 컨벤션과 협업을 위한 툴이 중요하다는걸 느꼈다.
장준혁: 개발 일정과 개발 목표를 설정해두고 진행하면서 속도조절이 필요했을 것 같다.
이시원: 웹에 접근하는 사람수를 제어하는 로드밸런서등에 대한 공부를 하면 좋겠다, Price 테이블처럼 해당 이벤트에 어떤 좌석이 있는지도 저장하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도 고려해봐야겠다.
장준용: 지속적인 학습과 코드 작성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409 (화) 이력서 준비 - PDF, 이력서 (0) | 2024.04.09 |
---|---|
20240408 (월) 이력서 세션, 이력서 준비 (0) | 2024.04.08 |
20240404 (목) 최종 프로젝트 티켓레이더 6주차 - 피드백 수용 (0) | 2024.04.04 |
20240403 (수) 최종 프로젝트 티켓레이더 6주차 - 유저테스트 시작 (0) | 2024.04.03 |
20240402 (화) 최종 프로젝트 티켓레이더 6주차 - 유저테스트전 최적화?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