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4 (월) Kotlin 1~2주차 강의

2023. 12. 4. 21:01TIL

대망의 첫 강의 코틀린 문법 종합반을 수강하였다.

코틀린 소개와 더불어 일상에서 코틀린이 어디에 쓰이는지, 유용한 단축키에는 뭐가있는지 등을 먼저 배우고

간단한 용어 및 문법들을 배웠다.

 

0. <기본>

 

변수(var) : 말그대로 변하는 값을 의미하며 숫자는 = 옆에 그대로 써도 되지만 한글자는 ' ' 여러 문자열이면 " "을 같이 써줘야 한다.

상수(val) :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하며 처음 정해둔 값에서 바꿀수 없다.

 

1.<연산자>

 

변수를

var num1 = 30 , var num2 = 10 으로 정한다 치면

var plusResult = num1 + num2 = 40
var minusResult = num1 - num2 = 20
var multipleResult = num1 * num2 = 300
var divideResult = num1 / num2 = 3

 

이런 결과가 나온다.


여기서 변수 num2를 10에서 7로 변경하고 싶을땐

num2 = 7       <<var은 맨처음에만 쓰고 생략이 가능

var modResult = num1 % num2 = 2이다

여기서 % 는 num1(30)에서 num2(7)을 나누고 남은 수를 나타내준다.

 

좀더 심화로 가서 산술연산자, 대입연산자, 복합대입연산자, 증감연산자까지 가보면

num1 = num1 + 1 = 31    << num1값이 30이라서 +1 을 더한 31

num1 += 1 = 31               << (+=) 는 {num1(앞의 변수)+} 와 같은 의미다 따라서 31

num1++ = 31                   << ++ 는 단순하게 1을 더한다는 의미

단순하게 +를 -로 바꿔도 된다.

예시) num1-- = 29

 

2.<조건식>

 

조건식은 크게 2개로 나뉜다.

1) if

 

if(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때 실행할 코드
} else if (나머지에서 if) {
  위 조건식이 false일때 실행할 코드
} else (나머지) {
  위 조건식이 false일때 실행할 코드
}

 

2) when

 

when(변수 또는 상수) {
 값1 -> {
// 실행할 코드
   }
 값2 -> {
  // 실행할 코드
   }
   else -> {
// 실행할 코드
 }
}

 

3.<반복문>

 

예시1)

var infos = arrayOf("꿩", "닭", "참새", "오목눈이", "공작새")  << 리스트에 꿩, 닭, 참새, 오목눈이, 공작새가 있고,
    for(info in infos) {
        if(info == "참새") {                            << 만약에 참새를 찾게된다면
            println("찾았다 참새!")                 << 찾았다 참새 메세지를 띄우고
break                                                       << 명령어를 멈춘다.
        } else {                                             << 그외엔 continue(명령어를 계속) 한다.
            continue
        }
    }

 

예시2)

var catStatus = false                                <<기본적으로 catStatus는 false 이다
    println("고양이는 매우 배고픕니다..")
    println("사료를 10번 먹여주세요")


    if(catStatus == false) {                          <<catStatus가 false 라면
        for(idx in 0..9) {                                 <<idx를 0번째부터 9번째(포함)까지 반복한다
            println("${idx}번째: 냠냠")             <<만약 0 until 9 면 9는 포함하지않음
        }
    }
    catStatus = true                                    <<9번째까지 반복후에는 catStatus가 true가 된다
    if(catStatus == true) {
        println("배부른 고양이입니다")
    }

 

 

오늘의 한마디 : 되든 안되든 일단 해보자!